본문 바로가기

js 공부(ft. sparta)/3주차

3-11. mongoDB 연결하기

mongoDB는 파이썬에서 연결한다.

->내 컴퓨터(파이썬)에서 mongoDB를 조작한다.

 

mongoDB를 사용하려면 두개의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다.

pymongo , dnspython 이 필요.

저번처럼 각각 pip install dnspythonpip install pymongo 라고 쓰고 엔터를 눌러주면 설치 완료다.

 

dbprac.py 라는 파일을 하나 더만들어준다.

이제 사용해볼껀데 이제껏 썻던 라이브러리들도 기본적인 코드가 있었듯, pymongo도 기본코드가 있다.

아래가 pymongo의 기본코드다.

from pymongo import MongoClient
client = MongoClient('여기에 URL 입력')
db = client.dbsparta

'여기에 URL 입력' 여기 url이 이제 mongoDB주소이다.

mongoDB의 주소는 사이트에서 가져올 수있다.

 

먼저 저번에만들었던 DB를 보면 Connect가 있는데 눌러준다.

들어가보면 아래 사진처럼 나오는데 connect your application에 속하는 저 창을 눌러준다.

그리고 나면 아래 사진처럼 나오는데

위 사진처럼 python으로 바꿔주고 버전은 3.6 or later로 바꿔준다.

그리고 나서 아래 mongodb~~ 옆 복사 버튼을 눌러준다.

그다음 close 해주고 vscode에 붙여넣어준다.

from pymongo import MongoClient
client = MongoClient('mongodb+srv://sparta:<password>@cluster0.ig1ol8y.mongodb.net/?retryWrites=true&w=majority')
db = client.dbsparta

여기서 <password> 는 우리가 전에 만들었던 test를 넣어주면된다.

sparta:test

이제 이건 지금 라이브러리만 부른거기 때문에 실행한다해서 뭔일이 일어나진 않는다.

 

이제 데이터를 하나 넣어줄꺼다.

mongoDB는 딕셔너리를 그냥 넣어주면 된다.


doc = { #딕셔너리 생성
    'name':'영수',
    'age':24
}

db.users.insert_one(doc) #딕셔너리를 db에 넣는다.

이제 저장하고 터미널에서 python을 실행하면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mongoDB 사이트에 가보면 users가 생긴걸 확인할 수있다.

 

먼저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아래 사진처럼 나오는데 저 빨간칸에 들어가본다.

들어가보면 users가 생겼다.

users는 이제 여기선 dbsparta라는 데이터베이스 안에 있는 콜렉션이라고 부른다.

 

이제 데이터를 넣는거, 읽는거, 삭제하는거, 수정하는것을 다뤄볼꺼다.

'js 공부(ft. sparta) > 3주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3. 웹스크래핑 결과 저장하기  (0) 2023.04.14
3-12. pymongo로 DB조작하기  (0) 2023.04.13
3-10. mongoDB 시작하기  (0) 2023.04.12
3-9. DB 개괄  (0) 2023.04.12
3-8. 웹스크래핑(크롤링) 연습  (0) 2023.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