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만들었던 스파르타피디아에 온도를 붙여넣어주는거다. 스파르타피디아는 처음에 만들었던 index.html인 영화기록하기가 있는 html이다.
우선 추가 수정을 해보자
<div>현재 서울의 날씨 : <span id="temp">20</span>도</div>
위 코드를 <h1>내생애 최고의 영화들!</h1> 과 <button> 영화 기록하기</button> 사이에 아래 처럼 붙여 넣어준다.
<div class="mytitle">
<h1>내 생애 최고의 영화들!</h1>
<div>현재 서울의 날씨 : <span id="temp">20</span>도</div>
<button onclick="hey()">영화 기록하기</button>
</div>
그리고 script부분에 쓴 코드들을 다 지워주고 아래 코드를 붙여넣어준다
$(document).ready(function () {
fetch("http://spartacodingclub.shop/sparta_api/weather/seoul").then(res => res.json()).then(data => {
console.log(data)
})
})
실행해보면 아래 사진처럼 나오게 된다.
여기서 위에를 보면 우리가 배웠던건 버튼을 눌렀을 시 fetch가 활성화가 됬었다.
하지만 이번엔 바로 fetch가 활성화가 돼서 위 사진처럼 온도가 출력이 됐다. 이건 아래 코드를 보면 된다.
$(document).ready(function () { })
이걸 쓰게되면 로딩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출력이 된다.
이제 온도를 출력해보자.
난 아래 처럼 코드를 수정했다.
$(document).ready(function () {
fetch("http://spartacodingclub.shop/sparta_api/weather/seoul").then(res => res.json()).then(data => {
$('#temp').empty()
let number = data['temp']
let c_number = `<div>현재 서울의 날씨 : <span id="temp">${number}</span>도</div>`
$('#temp').append(number)
})
})
그랬더니 아래 사진처럼 새로고침하면 바로 현재 온도가 찍혔다.
'js 공부(ft. sparta) > 2주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 Fetch 퀴즈(2) (0) | 2023.04.07 |
---|---|
2-9. Fetch 퀴즈 (1) (0) | 2023.04.06 |
2-8. Fetch 연습하기(2) (0) | 2023.04.06 |
2-7. Fetch 연습하기(1) (0) | 2023.04.06 |
2-6. Fetch 시작하기(2) (0) | 2023.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