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이번엔 코딩이 없기 때문에 글로만 작성한다.
먼저 보는게 이해가 빠르니 코드스니펫에 있는 openAPI를 클릭해서 아래 사이트에 들어가준다.http://openapi.seoul.go.kr:8088/6d4d776b466c656533356a4b4b5872/json/RealtimeCityAir/1/99
위 사이트에 들어가면 복잡하게 써있는데, 이게 리얼타임 서울 미세먼지이다.
보기 힘드니 아래 사이트에 들어가서 chrome에 추가를 누른 뒤 확장 프로그램 추가하면 끝이다.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jsonvue/chklaanhfefbnpoihckbnefhakgolnmc?hl=ko
JSONVue
Validate and view JSON documents
chrome.google.com
그 다음 다시 위 openAPI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아래 사진처럼 보기 쉽게 나온다.
데이터가 모두 제각각 모양이면 알아보기 때문에 규칙이 있다. 그게 바로 dictionary 형식이다.
이러한 형식을 JSON 이라고 부른다.
JSON은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내려줄때 dictionary 형태로 내려주는 걸 JSON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우리가 늘 보는 url이 데이터를 가지고오는 url이다.
우린 이제 위 api데이터를 가지고 각 구마다 미세먼지가 어떤지 가지고 올 수 있다.
'js 공부(ft. sparta) > 2주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 Fetch 시작하기(2) (0) | 2023.04.05 |
---|---|
2-5. Fetch 시작하기(1) (0) | 2023.04.05 |
2-3. JQuery 연습하기 (0) | 2023.04.05 |
2-2. JavaScript, JQuery 연습하기(2) (0) | 2023.04.04 |
2-1. JavaScript, JQuery 연습하기(1) (0) | 2023.04.04 |